안녕하세요
오늘의 가전제품 구매 가이드의 주인공은 "정수기"입니다.
예전에는 정수기가 회사나 식당, 백화점같이 가정집보다는 공용공간에서 수요가 많았는데요,
우리나라만해도 올해 2천만 렌탈계정을 넘어서면서 준필수 가전제품으로 취급되고 있어요.
정수기는 코웨이, 쿠쿠, 삼성, SK, LG등 여러 메이저 브랜드가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어 모델도 굉장히 많아요.
고객 입장에서는 행복한 고민이지만 마음에 드는 하나를 선택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그럼 내가 원하는 정수기는 어떻게 골라야하는지 하나하나 항목들을 따져보도록 하죠.
구매 방법 (렌탈vs일시불)
정수기 구매 방법에는 일반적으로 렌탈과 일시불 두 가지가 있습니다.
일시불은 고객 소유로 제품 자체를 구매하는 방식이고 렌탈은 일정 기간 동안 매월 얼마씩 지불하고 제품을 사용하는 계약이죠.
비용으로만 본다면 렌탈이 일시불보다 비싸긴 하지만 정수기는 보통 렌탈로 많이 계약합니다.
그 이유는 첫째로 관리 때문인데요. 정수기는 주기적으로 필터를 교체해 줘야 하고 케이스를 분해해서 내부를 세척 관리해 줘야 탈 없이 사용할 수 있어요. 고객이 직접 관리하기 번거롭기 때문에 비용을 더 주더라도 렌탈 계약을 선호합니다.
둘째로 렌탈 계약 방식입니다. 원래 렌탈은 일정 기간 사용 후 제품을 반납하는게 원칙이지만 정수기 렌탈 계약은 "리스"처럼 5년 사용 후 고객에게 소유권이 이전되거나 렌탈료 할인을 통해서 새상품으로 재계약하는 프로모션이 제공됩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정수기는 렌탈 시장에서 대표적인 제품군에 속하게 되죠.
물 보관 방식 (직수 VS 탱크)
정수기를 구분하는 큰 범주 중에 하나는 "정수기가 직수 공급 방식이냐 탱크 공급 방식이냐" 입니다.
둘 다 장단점이 있는데, 탱크형은 필터를 지나 정수된 물이 냉수 탱크나 온수 탱크에 저장되어 있다가 사용자가 출수 버튼을 누르면 공급되는 방식입니다.
물을 탱크에 저장하기 때문에 냉수와 온수의 공급량과 출수량이 많다는 장점이 있지만,
내부 탱크 구조로 디자인이 슬림화되기 어렵고,
저장된 물이 공급되기 때문에 직수형보다는 깨끗하지 않을 수 있죠.
반대로 직수형은 제품 내부에 물을 저장하지 않고, 사용자가 출수할 때 순간적으로 냉각 또는 가열을 통해 냉수와 온수를 제공합니다. 짧은 시간에 온수와 냉수를 생성하기 때문에 출수량이 상대적으로 적고, 한번에 많이 출수할 경우 원하는 온도보다는 미온수에 가까운 물이 출수됩니다.
하지만 바로바로 정수된 물이 출수되기 때문에 깨끗하고, 제품도 슬림하기때문에 탱크형보다는 직수형 정수기가 가격도 비싸고 인기가 많습니다.
단, 본인의 정수기 사용처가 가정집이 아니라 회사나 식당이라면
출수량이 많고 가격도 합리적인 탱크형 정수기를 추천합니다.
제빙 여부
정수기 구조에 따라 탱크형, 직수형으로 구분했다면, 정수기 종류에 따라서는 일반 정수기냐 제빙 정수기냐에 따라 나뉩니다.
정수기는 제공되는 출수 종류에 따라 여러 타입으로 나뉘는데,
정수만 나오는 정수 정수기, 냉수/온수 정수기, 냉수/온수/미운수 정수기 등 다양합니다.
그 중에서 냉수/온수/정수 정수기가 가장 일반적이고 여기에 얼음 생성(제빙)까지 되는 정수기가 고가의 제품이죠.
따라서 정수기를 구입할 때는 제빙 기능이 추가된 모델을 선택할 것인지가 중요합니다.
저는 여름이되면 아이스아메리카노를 자주 타먹기 때문에 매번 얼음을 만들기는 귀찮아 제빙 정수기를 선호합니다.
그런데 제빙 정수기는 기본적으로 얼음 탱크가 내장되어 있어 부피도 크고 무엇보다 일방정수기의 가격도 2배나되기 때문에 충분히 고민후 구입하시길 권해드려요.
기타 항목
- 스탠드/하프/언더싱크 타입
정수기 디자인에 따라 세 가지 외부 디자인이 있는데, 제품을 책상 높이로 둘 곳이 있다면 하프 타입을,
별도 둘 곳이 없어 단독으로 세워두고 싶으면 스탠드 타입을, 제품을 최대한 숨기고 싶다면 싱크대 상판을 타공해서 파우셋만 연결하는 언더싱크 타입을 추천합니다.
- 필터의 종류
필터의 종류는 회사마다 부르는 명칭이 조금씩 상이하지만,, 대표적으로 역삼투압, 중공사막 두 종류로 나뉩니다. 브랜드마다 주력으로 취급하는 필터가 있으니 확인 해보시고, 그 외에는 중금속을 걸러주는 필터가 추가된다거나, 부가적인 필터 장착에 따라 모델이 달라집니다. 물 맛에 민감하지 않다면 일반적인 필터만으로 충분합니다.
- 조리수 설치 여부
조리수는 정수기를 설치할 때, 싱크대쪽으로 물선을 하나 연결해서 정수만 제공되는 파우셋을 말합니다.
아래 이미지를 보시면 이해하실텐데, 파우셋 설치는 싱크대를 타공해야하기 때문에 타공 가능 여부와 복구에 대한 부분까지 고민하신 후에 결정하시는게 좋습니다.